미디어
_

학과 언론보도

세한오피니언 - 항공정비산업(MRO)에 대한 소고

작성자
항공정비학과
작성일
2021-02-18 07:31
조회
892
https://www.sehan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479

항공정비학과 손명환 교수







항공정비학과 손명환 교수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ll의 약자로, ‘항공기의 기체, 엔진, 부품 등에 대한 점검과 검사, 유지, 수리 및 개조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항공기의 제반 기능이 정상적인 상태로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MRO는 항공기 정비(aircraft maintenance)로 통칭되기도 한다. MRO 혹은 항공기 정비는 대상에 따라 기체중정비, 엔진정비, 보기류(부품)정비, 운항정비로 구분한다






전세계 항공기의 운항대수는 201824,560대에서 202848,720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연평균 9%에 가까운 증가율이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항공기 보유대수는 20187,880대에서 2028년에는 19,420대로 급속하게 증가하여 북미 지역과 유럽 지역을 합한 보유대수(20,270)와 거의 같은 숫자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바,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항공수요 확대가 글로벌 항공기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1MRO 구성비의 관점에서 정리한 전세계 MRO시장과 전망을 보여준다. 전세계 민수MRO 시장규모는 2018774억불에서 20281,180억불로 평균 4.6%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중국/인도) 시장은 규모가 북미시장을 넘어 가장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항공기 MRO 산업의 여러 분야 중에서 엔진MRO가 가장 큰 규모로 2018년에는 42.3%이었으나, 2028년에는 44.6%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엔진MRO는 다른 MRO구성요소에 비하여 지속적인 확장되고 있는바, 2018년에서 2023년 기간에는 3.3%의 성장률을, 2023년에서 2028년 기간에는 6.5%의 성정율을






 



예상하고 있다.

세계 주요 MRO업체로는 United Continental, AAR, Delta TechOps (미국) ; British Airways Engineering (영국) ; Airfrance-KLM E&M (프랑스) ; Lufthansa Technik (독일) ; ANZES (네델란드) ; STA, SIAEC (싱가폴) ; Ameco Beijing, STARCO (중국) ; JAL Engineering Co., MRO Japan (일본) 등이 있다. 이중에서 독일 Lufthansa Technik는 세계 1위의 MRO업체로, 1994년에 Lufthansa 항공사 투자로 설립되었으며, 2019년 현재 30개의 자회사와 26,000여명 종사자를 거느리고 있다. 본사는 Hamburg에 있으며, Frankfurt, Munich, Berlin 공항 등에 지사가 있다. 60개 라인 정비소를 가지고 있으며, 일일 1,700대의 항공기 정비할 수 있다. 2,000대의 항공기에 보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40종의 엔진 분해 정비하고 있다. 2018년 매출 59억 유로이었다.

싱가폴은 작은 도시국가이지만 지리적인 이점과 국가차원의 강력한 지도력과 후원을 바탕으로 STA(Singapore technology Aerospace)SIAEC (Singapore International Airline Engineering Company)라는 2개의 MRO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STA1975년에 Temasek/정부합작 투자로 설립되었으며, 싱가폴 공군MRO 업체로 출발하여 민수로 진출하여 현재 글로벌MRO 업체로 성장하였다. 2018년 매출은 265,000만불이었으며, 순이익은 24,460만불(매출액의 약 9.2%)이었다. 5,000명의 종업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계 20여개국, 40여 사이트 진출하고 있다. STA는 현재 비행 total support 제공, 기술 중심, 개조개발, upgrade 분야로 사업의 중점을 전환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싱가폴의 SIAEC1992년 설립되었으며, 민항기 물량을 중심으로 하는 업체이다. 2018년 매출은 87,000만불이었으며, 종업원은 5800명으로 이중에서 기술인력은 3000명 정도이다. 기술인력 3000명 중에서 자국의 전문기술인력 500여명 정도이다. MRO사업은 운항관리, 경정비, 중정비, overhaul, 정비 전단계 사업이다. SIAEC는 글로벌 시장 지향하는바, 글로벌 항공회사와 24joint venture 설립 및 투자하였으며,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필립핀, 베트남 등 7개국과 협력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항공사의 총 보유 대수는 2019년 기준으로 492대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 항공사 중에서 대한항공과 진에어는 자가정비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아시아나와 에어부산의 경우 일부 자가정비와 해외 위탁정비를 병행하고 있다. 전량 해외 위탁정비에 의존하는 제주항공, 티웨이 항공 등이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MRO정비산업 현실을 감안할 때 아시아⦁태평양 지역 3위의 민군수 항공기를 보유하고 세계 6위의 항공강국으로써 잠재 가능성을 활용치 못하는 항공산업의 불균형이 심각하며, 고부가가치인 항공정비산업 역량이 국가적인 산업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MRO업체로는 한국항공서비스()(KAEMS, Korea Aviation Engineering and Maintenance Service)가 있다. KAEMS2018년 진주/사천 항공 산단 클러스터에 사천공항을 거점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MRO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제주항공의 항공기 중정비(C-Check) 계약 체결 및 KAI가 수행하는 미 공군 F-16 창 정비 MRO를 일부 수행하며 군/민수 사업 동시 진행하며 MRO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제주항공과 더불어 이스타항공 등 국내 LCC 항공사들의 MRO 사업을 기반으로 사업 진행 중이며, 2019Boeing-737 정비 인증을 취득하였다.

우리나라의 항공산업은 국내의 핵심역량을 결집하여 KT-1, T-50, KUH 등 국산항공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전력화함은 물론 해외 수출에도 성공하여 항공기 수출산업국으로 입지를 다져왔다. 또한, 한국형 전투기(KFX) 사업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Korea Aerospace Industries)을 주업체로 하여 진행되고 있다. MRO산업을 비롯한 항공산업은 세계 각국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국부를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최대의 미래산업으로 볼 수 있다. 국내 민간항공의 MRO비용이 매년 3조원대이며 이중 절반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으며, 국내 군수MROF-15, F-35를 비롯한 첨단 항공기의 운용되면서 해외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대형 항공사의 계열에 속하지 않는 국내 다수의 저비용항공사(LCC)는 자체적인 MRO설비와 인력을 보유하기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MRO를 중국 등과 같은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T기술력과 풍부한 정비조직과 인력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동시에, 높은 인건비, 지역간, 업체간 경쟁체제, MRO산업의 후발주자라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국가차원의 지원이 수반된다면 우리나라의 MRO산업은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IT산업, 자동차산업, 조선산업 등처럼 멀지 않은 장래에 세계의 유수한 MRO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약력

공학박사(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세한대학교 항공정비학과 석좌교수

() 청주항공우주포럼 회장

() 청주대학교 교수

() 포항공대 연구교수

() 공군사관학교 교수 및 교수부장

() 한국형 전투기(KFX) 체계 예비 및 상세 설계 검토위원

() 국방과학기술조사 및 민군겸용기술 자문위원

() 한국항공우주학회 이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이사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상 수상(2003. 1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최우수논문상 수상(2008. 8.)

보국훈장 삼일장(2009. 1.)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2009. 7.)

참고문헌

[1] 손명환, 청주공항 항공기정비(MRO)관련 산업단지 조성 연구 (국회 연구용역 과제 보고서, 2019. 9).

[2] 민군융합 촉진을 통한 MRO산업 혁신성장 방안 (2019. 7.1 국회 제8간담회실).

[3] 항공정비(MRO) 산업발전 심포지엄 (2016. 7. 5, 전경련회관).

[4] 국내외 항공 MRO산업의 최근 동향과 발전과제, 2015.11, 산업연구원).

[5] GLOBAL FLEET & MRO MARKET FORECAST COMMENTARY 2018-2028, 2018. 01. 18, Oliver Wyman.

[6] 국토 교통부 & KIET, 국내외 항공 MRO 산업의 최근동향과 발전과제, 2015.

[7] GLOBAL FLEET & MRO MARKET FORECAST COMMENTARY 2018-2028, 2018. 01. 18, Oliver Wyman.